Residency
이호영 [12기 장기]
가려진 실존 065, 2100cmX600cm, 아크릴 필름 Mix, 2021
앞으로의 작업은 한 인간인 노인(老人)의 사진을 수집하는 일로부터 시작합니다. 우리는 그들을 미래지향적인 측면에서 그들을 바라보지 말고 과거를 개척한 존엄한 선구자적인 존재로 바라봐야 할 것입니다. 본 작업에서는 그들에게 어떤 삶이 주어졌었는지, 그리고 어떤 모습을 거쳐 지금의 모습을 이르게 되었는지에 대하여 물음을 던지고 작가만의 방식으로 그들의 과거의 ‘가려진 실존’들을 엿보려고 합니다. 따라서 앞으로의 작업에서는 그들에게 분명히 발현된 ‘세계 내 존재’였지만 그들에게 발견되지 못한 ‘사이존재interfuit’를 수집된 자료(과거 사진들을 수집)들을 작가만의 방식으로 사진 한 장 한 장을 재구성하여 그들의 가려진, 그리고 중첩된 시간들을 새로운 이미지로 드러내는 것이 목적일 것입니다. 궁극적으로 이러한 작업은 미발된 시간을 발현시켜 그들의 ‘사이존재interfuit인 가려진 실존들을 보여줌으로써 그동안 사진과 영상의 생태적 관점인 단순히 사실적인 인간 존재를 밝히는 것을 넘어서 경험하지 못한 한 인간의 새로운 세계를 구성하는 것입니다. 더불어 이와 같은 작업은 세계 내 존재의 시간을 발현시켜서 감상자들에게는 깊은 즐거움을 유도하고 미래의 세계관에 대한 신선한 원동력으로 작동하게 될 것입니다.
가려진 실존 07, 30cmX42cm, 아크릴 필름 Mix, 2021
가려진 실존 22, 30cmX42cm, 아크릴 필름 Mix, 2021
가려진 실존 22, 30cmX42cm, 아크릴 필름 Mix, 2021
ARCHE 20 150X80cm c print 2016
ARCHE #9, 130X80cm, c-print, 2016.
앞으로의 작업은 이전 프로젝트와의 단절된 작업이라기보다 한 걸음 더 내딛는 확장된 작업일 것입니다. 본 작업에서는 이전의 사진 작업보다 확장된 결과물들을 도출해내기 위해 세부적인 작업의 세계관과 컨셉, 그리고 풍부한 기술과 그에 맞는 메커니즘 환경들(사진과 영상을 구체적으로 접목한 설치작업)을 적용시켜 “사이존재interfuit”란 새로움을 전달하려고 합니다. 또한 이전부터 인식해오던 ‘세계 내 존재’로부터 탈출해 존재 너머의 가려졌던 세계와 그 깊은 내면에 잠겨 있어 미발된 존재를 발현시키기 위해 시간을 가리키는 여러 장의 중첩된 사진뿐만 아니라 영상과 사운드를 배합하여 새롭게 경험하는 인식의 전환점이 될 것입니다.
ARCHE #9, 130X80cm, c-print, 2016
본 작업은 한 인간의 삶을 예술과 기술에 결합시켜 재구성하여 세계에 드러나지 않았던 시간 속 이미지들을 제작하는 작업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작업을 통해 높고 또는 낮음의 이분법적인 해석에서 벗어나, 누구나 논의에 중심이 될 수 있으며 또는 주인공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함이다. 더불어 이와 같은 작업은 누구에게나 인간으로써의 공감적 관계를 맺을 수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감상자는 과거의 시간으로 유입되어 새로운 인식을 바탕으로 자신을 돌아보고 미래에 대한 원동력을 재정립하는 기대효과를 예상할 수가 있습니다.
현재의 시점에서 시작단계로 앞으로의 예상 결과물의 작품사이즈는 약 가로 10미터 내외, 세로 3미터 사이즈의 대형 작품이 될 것입니다. 작품 속에는 투명 아크릴 필름들을 중첩시킨 사진들과 영상물은 혼합되어 설치될 것입니다.
또 다른 너의 존재 #014,240x50,-Digital Print, 2009
사이 #022, 80X80cm, 2016. c-m-print
시공간#W006-2, 70x70cm x 9, c-print,2012-2013
작가 CV
개인전
2021, <가려진 실존>공모展 기억공장, 순천
2017,
2016, <규정과 무규정의 사이Ⅱ> 기획展 갤러리 밈, 서울
2014, <규정과 무규정의 사이Ⅰ> 기획展 에이치갤러리, 서울
2012, <시간과 공간>기획展 정동갤러리, 서울
2011, <너의 정원>展 관훈갤러리, 서울
2008,
단체전-주요
2021 <순천창작예술촌 통합기획전>, 기억공장 1945, 순천
2020 <순환> 부산국제오픈아츠기획전, 갤러리 merge?, 부산
2020, 강원문화재단 프로젝트 <우리집>, 인간문고, 태백
2019,
2018, <현대판화가협회 기획전>, 동덕갤러리, 서울
2017, <부메랑> 777갤러리, 장흥
2017, <경계에 선 4인> 기획전, 이중섭창작센터, 제주
2016, <수원빛그림축제> 경기도문화전당, 수원
2016, <콜라보레이션> 한국도자박물관 기획전, 경기
2015, <비어있는 실험> 777갤러리, 장흥
2014, <장욱진미술관 기획전>, 장흥
2013, <트라이앵글 정기전>, 달팽이 다방, 소머리국밥
2012. <트라이앵글 정기전>, 소머리국밥, 양평
2011, <목포그리기>展, 목포시립미술관, 목포
2011, <철암그리기>”展 태백박물관, 태백
2010, <한·일 현대미술>展, 갤러리 타블로, 서울 /아시아시립미술관, 일본
2009,
2007, 한국 . 프랑스 수교 120주년 국제사진전
2000, <동서양 people>展, Republic, 파리
1999, <파리에서의 마주침>"展, 파리
1997,
창작지원
2020 강원문화재단 작가의 방 지원
2017 경기문화재단 예술인
2007 한국문화예술진흥위원회 국제교류지원
레지던시
2020 순천창작예술촌 (순천)
2020 부산국제오픈아츠레지던스 (부산)
2015-2017 장욱진미술창작스튜디오 777레지던시 (경기)
논문연구 및 발표
2021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학술연구교수 선정
2020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학술연구교수 선정
2016, 「동아시아 기(氣)를 통한 사진 연구」, -
다음글 | 강건 [12기 단기] |
---|---|
이전글 | 한광우 [12기 단기] |